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3배 인상하도록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한 가운데 이 같은 조치가 한국 철강 업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이 철강 분야에서도 대(對)중국 견제 조치에 들어가면서 정부와 국내 철강 업계는 철강 수출에 연쇄적인 파장이 발생할지 주목하고 있다.
17일 정부와 철강 업계에 따르면 현재로서는 미국의 이번 조치가 한국의 철강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은 2018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철강업계 보호를 위해 수입산 철강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물량을 제한하는 조치인 '철강 232조'를 적용하자, 고율 관세 대신 '쿼터 축소' 카드를 선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263만t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2015∼2017년 연평균 383만t이던 한국산 철강의 미국 수출량은 2021년 200만t대로 축소됐다.
한국이 미국에 수출할 수 있는 철강 물량이 제한적인 것이다.
그런 만큼 미국이 중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를 올려 중국산 수입 물량을 축소하더라도 한국이 미국에 추가로 수출할 여지는 적다고 볼 수 있다.
한 철강 업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중국의 대미 수출 물량을 우리나라가 이어받을 수 있는 등의 직접적인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