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ort

관련동향 및 뉴스

【 2025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평가 】

  • Reg. Date : 06.23 2025
  • Write : dw6784
  • View : 5

 2025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평가 】

 

 (동향) 1~5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한 2,749억 달러, 수입은 2.5% 감소한 2,562억

   달러, 무역수지는 187억 달러 흑자

 

 (수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등 IT 제품과 선박 수출은 증가했으나, 미국발 관세 등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여타 품목 수출은 감소

 

- 지역별로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미국·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아세안·EU·대만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

  하면서 수출의 특정국 집중도가 일부 완화

 

          * '25년 1~5월 품목별 수출증가율(전년동기비 %) : (선박)12.1 (컴퓨터)11.9 (반도체)11.4 (무선통신기기)10.7

          * '25년 1~5월 지역별 수출증가율(전년동기비 %) : (미국)-4.4 (중국)-5.0 (아세안)4.2 (EU)2.0 (대만)62.5

 

 (수입)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에너지 수입은 감소세

 

          * '25년 1~5월 품목별 수입증가율(전년동기비 %) : (원유)-13.2 (천연가스)-9.6 (석탄)-34.9 (에너지 外)1.1

 

 (수지) 1월 일시적인 적자 이후 흑자 흐름 지속 중

 

 (평가) 주요국 대비 수출 부진, 반도체 제외 시 수출 부진 확대

 

 관세 영향 품목 중심으로 대미 수출 부진 확대,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세

 

  

 

【 2025년 하반기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

 

 (무역환경) 세계경기 회복세 둔화, 교역 위축, 상호관세 유예 만료(7/8)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 지속 

   예상

 

 (세계경제) 무역정책 불확실성 확대로 세계경제는 2% 후반대, 세계 상품교역은 역성장 전망


 

    * 세계 경제 성장률('25p, %) : (IMF) 2.8 (OECD) 2.9 / 세계 교역 증가율('25p, %) : (WTO) -0.2

 

 (환율) 하반기 약달러 환경 속 1,300원대 중반 수준에서 점진적인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

 

          * '25년 달러화지수(DXY) : ('25.1Q) 106.7 → (2Qe) 100.1 → (3Qe) 99.0 → (4Qe) 97.8

         ** 원/달러 환율(Bloomberg 6/16 전망, 원): ('25.2Qe) 1,414 → (3Qe) 1,390 → (4Qe) 1,380

 

 (유가) 하반기 국제유가는 공급 과잉이 이어지면서 하방 압력이 우세하나, 중동 지역 분쟁 심화 시 공급 차질에 의한

    단기적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상존



          * 글로벌 원유 재고 전망(EIA, b/d) : ('25년) +40만 → ('26년) +80만

 

 

 (통상)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협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국의 보편관세(10%)와 품목별 관세가 미국

    수입시장의 ‘뉴 노멀(New Normal)’로 작용 예상

 

 (전망) 2025년 연간 수출은 전년 대비 2.2% 감소한 6,685억 달러, 수입은 1.8% 감소한 6,202억 달러,

   무역수지는 483억 달러 흑자 예상

 

 하반기 수출은 자동차, 자동차부품, 철강 등 대부분의 주력 품목에서 미국발 관세 영향이 가시화될 전망

 

 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출 감소폭이 더 커 전년 대비 무역흑자 규모는 소폭 축소될 전망

(주)SJ컨설팅
상담문의
063·842·8870
http://www.sjexport.co.kr/